방문요양, 목욕사업, 돌봄 SOS사업, 재가노인지원사업, 가사간병방문지원사업
- 목적 및 주요 특징
- ● 돌봄이 필요한 중장년과 청년 대상 서비스 제공으로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
- ●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국민 누구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기반 마련, 국민의 삶의 질
- ● 서비스 이용자 확대, 사각지대 해소 및 서비스 질 제고 등 사회서비스 고도화 추진방향에 맞는 사업으로 운영
- 대상
- ● 돌봄이 필요한 청.중장년, 가족돌봄청년
- ● 서비스
-
● 기본서비스(재가돌봄.가사서비스) + 특화서비스
기본서비스(24,36,72시간) 및 특화서비스(최대 2개)를 이용 가능하며 이용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해 선택권 보장
-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원칙
-
구분 기본서비스(재가돌봄.가사) 특화서비스 돌봄+가사 A형(기본돌봄형) 월 36시간 1개 이용 C형(추가돌봄형) 월 72시간 - 가사만 B형(가사형) 월 24시간 2개 이용 특화만 D형(특화형) - 2개 이용 - ● 재가 돌봄가사와 함께 심리 지원, 간병교육, 병원 동행, 교류 증진 중 개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
- 이용방식
- ● 대상자로 선정되면 본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선택해 지자체에서 이용권(바우처)을 발급받은 후 제공기관에서 서비스 이용
- 서비스 가격(바우처 금액)
- ● 기본 서비스(재가돌봄.가사) : 36시간(A형)시 월 660,000원 / 72시간(C형)시 월 1,320,000원
- ● 가사만 24시간 이용(B형)시 월 432,000원
- ● 특화서비스: 월 12만 – 25만원까지 서비스 종류에 따라 다양
- ● 본인부담: 소득 수준에 따라 서비스 가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부담
- 일상돌봄 서비스의 본인부담 비율
기준 중위소득 | 기본 서비스 | 특화 서비스 |
---|---|---|
기초수급자, 차상위 | 면제 | 5% |
120% 이하 | 10% | 15% |
120% 초과 – 160% 이하 | 25% | 30% |
160% 초과 | 100% | 100% |